티스토리 뷰
Pay for stablecoins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스템
스테이블 코인은 단순히 '가격이 안정적인 코인'을 넘어, 블록체인 기반의 효율적인 가치 이전 수단으로싸 금융 시스템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복잡하고 느린 국경 간 결제 방식을 혁신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스테이블 코인 구매 단계
스테이블 코인을 얻는 과정은 일반적인 암호화폐 거래소 또는 분산형 거래소(DEX)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구매 방식 | 설명 |
|---|---|
| 중앙화 거래소 (CEX) | 사용자가 법정화폐(KRW, USD 등)를 입금하고, 이를 이용해 USDT, USDC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을 시장 가격으로 매수. 이 과정은 KYC(신원 확인) 및 AML(자금세탁 방지) 규제를 준수 |
| 분산형 거래소 (DEX) | 이미 다른 암호화폐(ETH, BTC 등)를 보유한 경우, 이더리움 기반의 Uniswap과 같은 DEX에서 해당 암호화폐를 스테이블 코인으로 Swap 하여 교환 |
| 발행사 직접 구매 | USDC의 경우, 서클(Circle)과 같은 발행사를 통해 법정화폐를 직접 송금하고 1:1 비율로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 |
2. 스테이블 코인 관리 단계
구매한 스테이블 코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특정 주소에 저장되며, 이 주소에 대한 접근 권한(Private Key)은 암호화폐 지갑 을 통해 관리
- 하드웨어 지갑 (콜드 스토리지):
- 물리적 장치에 프라이빗 키를 오프라인으로 보관하여 보안성이 가장 높음
- 대규모 자산 관리에 적합
- 소프트웨어 지갑 (핫 스토리지):
- 모바일 앱이나 웹 기반으로 제공되며, 접근성이 높아 일상적인 결제나 거래에 편리
- 예: MetaMask, Trust Wallet
- 거래소 지갑:
- 거래소 플랫폼 내에 보관되는 형태로, 사용자가 프라이빗 키를 직접 소유하지 않고 거래소에 보관을 위임
⭐️ 스테이블 코인 자체는 지갑에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장부에 기록되어 있으며, 지갑은 그 기록에 접근하고 거래를 승인할 수 있는 열쇠(프라이빗 키) 역할
3. 스테이블 코인 결제 (Payment) 단계
스테이블 코인 결제는 기존의 현금 결제 및 카드 결제 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메커니즘
| 구분 | 스테이블 코인 결제 (블록체인) | 신용/체크카드 결제 (전통 금융) | 현금 결제 (물리적) |
|---|---|---|---|
| 거래 방식 | P2P (Peer-to-Peer) 송금 | 중앙화 중개 (카드사, 은행, VAN사) | P2P (Peer-to-Peer) 교환 |
| 거래 매개 |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 | 은행 간 결제 네트워크 (SWIFT, ACH 등) | 물리적 화폐 |
| 중개자 | 거의 없음 (네트워크 노드) | 필수적 (카드사, 은행, VAN사, PG사) | 없음 |
| 수수료 | 네트워크 수수료 (Gas Fee) | 가맹점 수수료 (매출액의 0.5~3%) | 없음 |
| 정산 시간 | 수 초 ~ 분 (블록 생성 속도) | 수 시간 ~ 일 (결제일 기준) | 즉시 |
| 국경 | 국경 제한 없음 | 국경 간 복잡하고 느림 | 국경 간 사용 불가 |

ref.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91678061
🪙 스테이블 코인 결제의 상세 과정
1️⃣. 결제 요청 및 주소 확인:
- 소비자가 판매자에게 스테이블 코인으로 결제하겠다고 요청하면, 판매자는 자신의 블록체인 지갑 주소(Public Key) 및 결제 금액을 소비자에게 (QR 코드, NFC 태그 등을 통해) 제시
2️⃣. 트랜잭션 생성:
- 소비자는 자신의 지갑 앱에서 해당 주소와 금액을 입력하고, 개인 키(Private Key) 로 트랜잭션에 디지털 서명
3️⃣. 네트워크 전송:
- 서명된 트랜잭션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예: 이더리움, 솔라나)의 노드(Node)들에게 전파
4️⃣. 검증 및 기록:
- 노드들은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이를 블록에 담아 체인에 기록
- 이 과정이 완료되면 결제가 최종적으로 확정
5️⃣. 판매자 확인:
- 판매자의 지갑에 스테이블 코인이 수 초~분 내에 입금된 것을 확인하고 상품/서비스를 제공합니다.
4. 판매자 정산 및 환전 단계
판매자 입장에서 스테이블 코인으로 받은 대금을 최종적으로 법정화폐(KRW/USD)로 정산하는 과정
- 즉시 사용:
- 판매자가 스테이블 코인을 그대로 원자재 구매, 직원 급여 지급, 또는 국경 간 송금에 재사용할 경우, 정산 과정 없이 즉시 유동성을 활용
- 법정화폐로 환전:
- 판매자는 받은 스테이블 코인을 중앙화 거래소(CEX)의 지갑으로 송금
- 거래소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법정화폐(KRW/USD)로 매도합니다.
- 거래소의 은행 계좌를 통해 판매자의 법정화폐 계좌로 금액을 인출(출금)
⚠️ 중요한 차이: 신용카드 결제의 경우, 은행/카드사가 개입하여 결제일에 맞춰 정산이 이루어지며, 판매자는 매출액의 일정 부분을 수수료로 공제당합니다. 반면, 스테이블 코인 결제는 P2P 기반으로 정산 시간이 사실상 수 초~분으로 단축되며, 지불하는 비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지불하는 Gas Fee만 발생
스테이블 코인의 잠재력
스테이블 코인 결제 방식은 저렴한 수수료, 신속한 정산(거의 실시간), 국경 없는 거래라는 점에서 기존의 카드나 은행 기반 결제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
- 특히, 판매자 입장에서 수수료 절감은 물론, 정산 유동성 확보에 큰 이점을 제공
- 이러한 효율성은 앞으로 글로벌 상거래, 특히 국경 간 거래 분야에서 스테이블 코인의 채택을 가속화하는 핵심 동력
간편 결제 서비스와 스테이블 코인
순수한 스테이블 코인 결제는 P2P 온체인 송금을 통해 중간 단계를 최소화
- 하지만 이는 사용자 편의성, 법정화폐로의 환전 용이성, 그리고 광범위한 가맹점 확보에 어려움
간편 결제 서비스 기업은 이러한 간극을 메워 스테이블 코인의 대중화를 가속화하는 핵심적인 미들웨어(Middleware) 역할을 수행
페이 서비스의 주요 역할
| 역할 구분 | 상세 내용 | 가치 제안 |
|---|---|---|
| UX/UI 간소화 | 복잡한 지갑 주소 입력, 가스비(Gas Fee) 설정 등을 앱 내 QR, 바코드, NFC 등의 간편한 방식으로 대체하여 일반 소비자에게 익숙한 결제 경험을 제공 | 사용자 편의성 극대화 |
| On/Off-ramp 중개 | 사용자의 법정화폐 계좌와 스테이블 코인 간의 실시간 전환(발행/상환) 을 중개하여, 법정화폐를 스테이블 코인으로 쉽게 구매하고, 받은 스테이블 코인을 쉽게 현금화(정산) | 유동성 및 접근성 제공 |
| 가맹점 결제망 연동 | 이미 확보된 대규모 가맹점 인프라에 스테이블 코인 결제 기능을 연동하여, 판매자 측의 추가적인 시스템 도입 부담 감소 | 채택률 및 범용성 확대 |
| 보안 및 규제 준수 | 결제 과정의 보안을 책임지고, KYC/AML 등 각국 금융당국의 규제를 준수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거래의 신뢰도를 향상 | 신뢰성 및 법적 안정성 확보 |
간편 결제 서비스의 스테이블코인 결제 과정
간편 결제 서비스의 스테이블 코인 결제는 순수한 온체인 방식보다는 '앱 연동을 통한 결제' 또는 '카드를 통한 결제' 형태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따르게 됩니다.
1단계: 사용자 준비
- 코인 확보:
- 사용자는 간편 결제 앱에 연결된 은행 계좌를 통해 법정화폐를 입금하고, 앱 내에서 이를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나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USDC 등)으로 전환(발행 요청)
- 잔액 관리:
- 전환된 스테이블 코인 잔액은 간편 결제 기업이 관리하는 custodial wallet (수탁 지갑) 또는 사용자 연동 지갑에 기록
2단계: 결제 요청 및 트랜잭션 생성
- 결제 요청:
- 사용자는 간편 결제 앱을 실행하고, 판매처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실물 연동 카드를 제시
- 앱 내 서명 (오프체인 승인):
- 앱은 결제 금액을 인식하고, 사용자에게 결제 승인(PIN, 생체 인증)을 요청
- 이 승인은 블록체인 상의 서명(Private Key) 대신, 간편 결제 기업 서버 내의 인증으로 처리 가능
3단계: 결제 중개 및 온/오프체인 처리
- 트랜잭션 전달:
- 간편 결제 기업의 서버는 사용자의 스테이블 코인 잔액을 확인하고, 판매자에게 대금을 지급해야 함을 시스템적으로 기록
- 하이브리드 처리:
- 온체인 처리(대규모 거래/정산): 만약 결제가 대규모이거나, 판매자가 직접 스테이블 코인을 받기를 원한다면, 간편 결제 기업의 서버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블록체인에 실제 송금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가스비와 함께 네트워크에 전송
4단계: 판매자 정산 (Seller Settlement)
- 정산 확정:
- 판매자는 간편 결제 기업의 가맹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스테이블 코인 대금을 실시간으로 확인
- 선택적 환전 (Off-ramp):
- 즉시 현금화: 판매자가 정산을 요청하면, 간편 결제 기업은 내부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법정화폐로 환전하고, 은행 시스템을 통해 판매자의 계좌로 법정화폐를 입금. 이 과정에서 간편 결제 기업이 환전 및 PG 수수료를 수취
- 스테이블 코인 유지: 판매자가 대금을 스테이블 코인 상태로 유지하고, 이를 다른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 내 거래(B2B 송금 등)에 재활용 가능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tablecoin] 스테이블코인 기본 개념과 궁금증들 (0) | 2025.10.16 |
|---|---|
| [회고] 2023년 회고 (0) | 2024.01.12 |
| [회고] 2022년 회고 (2) | 2023.01.18 |
| [회고] 늦은 2021년 회고 (0) | 2022.06.29 |
| [ETC] 회고 방법 (0) | 2022.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