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ringBuilder 출처 :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api/StringBuilder의 특징. - 변형이 가능한 문자열 - 문자열 버퍼가 단일 스레드에 의해 사용되던 장소에서 StringBuffer의 드롭인 교체로 사용하도록 설계 (데이터 덮어쓰기) - 대부분의 구현에서 빠른 성능 (StringBuffer보다 선호) - 문자열 시퀀스의 길이가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한, 새로운 내부 버퍼를 할당할 필요가 없음(내부 버퍼가 넘치면 자동으로 더 크게 생성) - StringBuilder의 인스턴스는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하기에 안전하지 않음. 이러한 동기화가 필요한 경우 StringBuffer를 사용할 것을 권장 - sb.append("x") 와 같은 방법으로..
참고글 : [Python] 리스트 (list) 리스트의 메서드 # insert() : 리스트의 특정 위치에 요소 삽입>>> test1 = [1,2,3]>>> test1.insert(1, 10) # 두 번째위치에 10 삽입>>> test1[1, 10, 2, 3] # append() : 리스트 끝에 요소 삽입>>> test1 = [1,2,3]>>> test1.append(5)>>> test1[1, 2, 3, 5] # clear() : 리스트 내용 모두 삭제>>> test1 = [1,2,3]>>> test1.clear()>>> test1[] # del() : 리스트의 특정 위치 요소 삭제>>> test1 = [1,2,3]>>> del(test1[1])>>> test1[1, 3] # remove() : 리스트의..
참고글 : [Python] 리스트 메서드 (list method) 리스트 (1차원 자료구조 = 배열) l = [val1, val2, ...]# vector in R = Python list # 리스트 생성>>> l1 = [1,2,3,4,5,6,7,8,9,10] # 리스트의 요소 추가 : append>>> la = []>>> la.append(1)>>> la.append(2)>>> la[1, 2] # 리스트의 요소 삭제 : del>>> l1 = [1, 2, 3, 4, 5, 6, 7, 8, 9, 10]>>> del(l1[2]) # 특정 위치의 요소 삭제>>> l1[1, 2, 4, 5, 6, 7, 8, 9, 10] >>> l1[2:4] = [] # 슬라이스 색인으로 여러 요소 삭제 >>> l1[1, 2, 6,..
벡터(Factor) 벡터는 "1차원에 여러개의 데이터가 모인 데이터의 집합(컬럼)"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칼라로 이루어진 집합이라고 할 수도 있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배열이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R 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벡터뿐이라고 하니, 벡터는 자주 쓰일 만큼 중요합니다 !!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1차원 통에 , 동일한 스마일들의 모임"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벡터는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하나의 데이터 타입으로만 저장해야 합니다. 만일, 숫자 타입과 문자 타입의 데이터를 한 공간에 저장하면 하위 데이터 타입(숫자 타입)은 상위 데이터 타입(문자 타입)으로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만일, 숫자 데이터를 연산하여 사용하려하지만, 같이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