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blemhttps://www.inflearn.com/course/%EC%95%8C%EA%B3%A0%EB%A6%AC%EC%A6%98* The copyright in this matter is in Inflearn #. Resolution Process 1. Read and understand problem 2. Redefine the problem + abstract 3. Create solution plan (select Algorithm, Data structure) 4. Prove the plan (check performance time and usage memory) 5. Carry out the plan 6. Look back on the plan and find a way to im..
1#include cs .빈 벡터 생성-- a 라는 이름을 가진 int 자료형의 빈 벡터1234vector a; a.push_back(3);printf("%d\n", a.size()); // 벡터 a 의 원소 개수 a.pop_back();cs-- .크기를 가진 벡터 생성-- b 라는 이름을 가진 int 자료형의 크기가 5인 벡터 - 소괄호123456vector b(5); // 초기 원소 값은 0으로 초기화b[1] = 3;printf("%d\n", b[1]); // 초기값을 다른 값으로 초기화 할 경우(12345)vector b(5, 12345); cs-- .벡터 배열-- c 라는 이름을 가진 배열 3개 생성 (벡터 배열) - 대괄호-- ex) 인접리스트1234vector c[3];c[0].push_bac..
벡터(Factor) 벡터는 "1차원에 여러개의 데이터가 모인 데이터의 집합(컬럼)"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칼라로 이루어진 집합이라고 할 수도 있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배열이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R 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벡터뿐이라고 하니, 벡터는 자주 쓰일 만큼 중요합니다 !!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1차원 통에 , 동일한 스마일들의 모임"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벡터는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하나의 데이터 타입으로만 저장해야 합니다. 만일, 숫자 타입과 문자 타입의 데이터를 한 공간에 저장하면 하위 데이터 타입(숫자 타입)은 상위 데이터 타입(문자 타입)으로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만일, 숫자 데이터를 연산하여 사용하려하지만, 같이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