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색인 (.np.ix_, .iloc, .loc) *# 슬라이스 색인 (얕은 복사, 원본 갱신) - 1차원 : ar[n:m] # n~m-1 - 2차원 : arr[:2] # 행 우선 (n~1행) arr[:2, 1:] # (n~1행, 1~m열) # 다차원 색인 - arr[[1,5,3], [2,6,4]] # point 색인 (1,2), (5,6), (3,4) - arr[[1,5,3], [:,[2,6,4]] # 1,5,3행의 2,6,4열 # np.ix_() 함수 색인 - arr[np.ix_([1,5,3], [2,6,4])] # 1,5,3행의 2,6,4열 (np.ix_ 함수 : 위치 값으로 전달) # iloc[] 정수 색인 - df.iloc[0,:] # 0번째 행 - df.iloc[:,0] # 0번째 열 - d..
R에서의 NA는 '잘못된 값', Null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값'으로,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R과 다르게 NaN(NA)와 Null 을 '정해지지 않은 값' 의 의미로 같이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NaN으로 Na와 Null을 모두 표현합니다. # NA 사용 방법from pandas import Series, DataFrame Series([1,2,3,np.nan])0 1.0 1 2.0 2 3.0 3 NaN dtype: float64 # NaN 값 때문에 데이터 타입이 float from numpy import nan as NA # np.nan 사용이 번거로울 경우 alias 사용 Series([1,2,3,NA])0 1.0 1 2.0 2 3.0 3 NaN dtype: 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