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글 :[Statistics/R] 모집단 추론, 추정[Statistics] 가설 검정 및 추정 p-value p-value 는 모집단 추론의 가설 검정에서 기각 혹은 채택을 결정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합니다. 95%의 신뢰구간(표준정규분포의 값이 [-1.96 ~ 1.96]인 구간)이 -> 채택 혹은 기각을 결정하는데 -> 여기서 결정할 수 있는 확률(가설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크기)이 p-value입니다. 먼저, 대부분의 분석 모델에서는 가설이 부정 의미로 사용되어, p-value가 작을수록 결과가 의미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뒤에 설명드리겠습니다 !! p-value를 예를들어 설명하자면 평균 키를 구하고자 할 때,신뢰구간이 175 ~ 182 이고, 가설은 184라고 가정해보자.여기서 ..
#. 확률실험(=확률 시행) : E다음을 만족할 때, - 어떠한 실험에 대한 결과를 알지 못 할 경우 - 결과는 모르지만,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한 사건(경우)를 아는 경우 - 동일한 실험을 계속 반복할 수 있는 경우 ex) 동전를 2번 던져서 어떤 면이 나오는지 실험 #. 표본공간 : Ω예상 가능한 모든 결과(모든 경우의 수)표본공간을 그래프로 그린 것이 확률 분포 ex) 동전를 2번 던져서(학률 실험)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 Ω = {앞, 뒤} Ω = {뒤, 앞} Ω = {앞, 앞} Ω = {뒤, 뒤} #. 사건 : A, B, ...발생 가능한 특정 사건 ex) 동전를 2번 던져서(학률 실험) + 첫 번째 동전이 앞면이 나올 경우(사건) 앞면이 1번 나오는 사건 : P(x=1) :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