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 https://data-make.tistory.com/200 (메서드 Overloading) #. 생성자 Overloading *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할 때, 필요한 변수들만 적절히 초기화하기 위해 사용 > 생성자 Overloading -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할 때 객체의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메서드 - 메서드 Overloading 지원 ㄴ 하나의 클래스는 매개변수의 유형과 개수를 달리해서 여러개의 생성자를 갖도록 함 > 사용 예 - 특정 클래스로부터 객체 생성 -> Overloading 된 생성자 이용 -> 필요한 데이터로만 초기화된 객체 사용 가능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public class Employee { String na..
참고 : https://data-make.tistory.com/201 (생성자 Overloading) #. 메서드 Overloading * 하나의 클래스에 동일한 이름의 메서드가 여러개 중복되어 정의되는 것 > 변수의 중복 선언 - 데이터 타입이 달라도 변수 이름이 동일한 경우 허용하지 않음 > 메서드의 중복 정의 - 변수와 달리 하나의 클래스에 동일한 이름의 메서드는 여러개 정의 가능 - 매개변수의 개수와 타입을 통해 실행될 메서드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 - JAVA와 같은 객체지향 언어에서만 제공되는 독특한 문법1234public void printData(int data) { }public void printData(double data) { }public void printData(char dat..
#.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 절차지향 (POP) - 실행되는 순서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형태를 가진 언어 - 프로그램 재사용 시 기존에 만들어진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는 방법 사용 => 함수의 등장. ㄴ자주 사용되는 특정한 코드를 하나의 모듈(묶음)로 묶어 놓은 것 ㄴ프로그래머가 사용하고 싶을 때마다 호출하여 코드가 실행되도록 함 ㄴ데이터와 함수 간에 유기적인 관계성을 갖지 못함 > 객체지향 (OOP) - 모듈성을 높이기 위해 함수가 등장 - 객체 등장 (함수보다 더 높은 모듈 관리를 위해 자신이 가진 고유의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메서드를 가짐) - 이러한 객체들이 모여 객체지향 프로그램 구조가 형성 - 객체지향을 통해 보다 높..
1. 생성자-- Student.java1234567public class Student { String name;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Colored by Color Scriptercs -- Stu1.java123456public class Stu1 extends Student { // Student 클래스를 상속 public void say() { System.out.println("Hi I'm " + this.name); }} Colored by Color Scriptercs -- MasterStu.java-- 생성자는 클래스명과 메서드명이 동일-- 리턴타입을 정의하지 않음12345678910111213141516public..
1. 상속(inheritance)-- Student.java1234567public class Student { String name;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Colored by Color Scriptercs-- Stu1.java1234567891011121314package test; public class Stu1 extends Student { // Student 클래스를 상속 public void say() { System.out.println("Hi I'm " + this.nam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1 stu1 = new Stu1(); stu1.set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