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셔너리(Dictionary) dic = { key1:value1, key2:value2, ...} # key, value 값을 갖는 자료구조 -> 빠른 입력과 출력# list in R = Python dictionary # Dictionary 생성>>> fruits = {'이름':'사과', '가격':2000, '수량':10}>>> fruits{'이름': '사과', '가격': 2000, '수량': 10}>>> type(fruits) # 새로운 key:value 삽입>>> fruits['크기'] = '중'>>> fruits{'이름': '사과', '가격': 2000, '수량': 10, '크기': '중'} # 수정 >>> fruits['크기'] = ['중','소'] # 리스트로도 수정 가능>>> fruits{..
튜플(tuple) : (읽기만 가능한)리스트 t = ( val1, val2, ... )# vector in R = Python list# 읽기만 가능한 리스트 (입력, 수정, 삭제 불가)# 주로 수정하면 안 되는 데이터셋에 사용 참고글 : [Python] 리스트 (list) # 튜플 생성>>> t1 = (1,2,3)>>> t1(1, 2, 3) >>> t1 = 1,2,3>>> t1(1, 2, 3) >>> t1 = (10) >>> t110>>> type(t1) # 하나의 원소만 삽입 시 스칼라 원소로 적용 >>> t2 = (10,) >>> t2(10,)>>> type(t2) # 하나의 원소를 튜플로 삽입 시 ,(콤마)와 함께 사용 # 튜플은 수정, 삽입, 삭제 불가>>> t1 = (1,2,3) >>> t1[..
참고글 : [Python] 리스트 메서드 (list method) 리스트 (1차원 자료구조 = 배열) l = [val1, val2, ...]# vector in R = Python list # 리스트 생성>>> l1 = [1,2,3,4,5,6,7,8,9,10] # 리스트의 요소 추가 : append>>> la = []>>> la.append(1)>>> la.append(2)>>> la[1, 2] # 리스트의 요소 삭제 : del>>> l1 = [1, 2, 3, 4, 5, 6, 7, 8, 9, 10]>>> del(l1[2]) # 특정 위치의 요소 삭제>>> l1[1, 2, 4, 5, 6, 7, 8, 9, 10] >>> l1[2:4] = [] # 슬라이스 색인으로 여러 요소 삭제 >>> l1[1, 2, 6,..